1. 청설모는 꼬리로 균형을 잡고 의사소통을 한다
2. 박쥐는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 사물 인식을 한다 ( 여우는 반응이 없고 아기가 반응하고 우는것은 나이에 따른 가청주파수 때문)
3. 다람쥐는 볼 주머니로 음식을 담아 저장하는데 평균 적으로 머리 크기의 3배까지 확장 할 수 있다
4. 별코두더지는 시력이 퇴화되어서 코에 있는 촉각촉수로 사물을 인식한다
5. 박쥐는 지상에서 날개로 날기 어렵기 때문에 거꾸로 매달리고 있다가 떨어지면서 비행한다
6. 까마귀는 허수아비를 처음 목격시에 경계하지만 지능이 높기 때문에 나중에 무해하다는걸 알고 경계를 안한다
7. 다람쥐는 사실 잡식이다. 작은 곤충이나 개구리, 둥지에 있는 새까지 잡아 먹는다
8. 라쿤은 용변을 배출하는 곳을 만들며 어느 라쿤이던간에 그 곳에만 용변을 본다
9. 주머니쥐는 주머니 안에 최대 20마리의 새끼를 기른다
10. 흡혈박쥐 집단은 피를 먹지 못한 박쥐에게 흡혈한 피를 토하여 공급 한다
11. 올빼미는 눈알을 움직일수 없는 대신 목을 270도 까지 돌릴수 있다 (올빼미나 부엉이는 날개짓 소리가 거의 없다)
12. 해달은 잠을 잘때 떠내려가지 않도록 다른 해달 손을 꼭 잡고 잔다
13. 비버들은 물 흐르는 소리를 참을수가 없어서 강박적으로 나무로 댐을 짓는
14. 개구리들이 우는 이유
15. 흡혈 박쥐는 물과 피만 먹을수 있는데 이틀 동안 못먹으면 죽어버린다
16. 쥐는 특정장소를 이동하고 돌아가는 길을 기억 할 수 있다
17. 주머니쥐는 무의식적으로 죽은척을 한다. 천적을 만났을때는 스트레스로 무기력 상태에 빠져버린다
18. 페럿 가족은 굉장히 보수적이라서 생후 4개월 뒤면 독립 시켜버린
19. 왁시몽키 프로그는 귀 뒤에 분비선에 있는 분비물을 온 몸에 발라서 습도 유지를 한다
20. 고슴도치는 락토오즈 불내증이 있어서 우유를 먹으면 풍성 증후군이 올수 있다. 이때 2배 가량 부풀어진다
20번... 풍성????